반응형

이재명 대통령 당선 출구조사 개표 결과 선거 투표 프로필

 

 

 

이재명

 

3월 9일 진행된 제20대 대통령 선거입니다.

이재명 지사와 윤석열과의 초박빙 대결이 펼쳐졌는데요.

이재명, 윤석열 외에도 심상정, 오준호, 허경영, 이백윤,옥은호, 김경재 등 후보들이 대선에 나왔습니다.

안철수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단일화로 사퇴하였어요.

 

 

김동연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단일화로 사퇴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진행되었었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이 벌써 5년이란 시간이 흘렀네요. 대통령 임기는 5년입니다.

 

 

 

20대 대통령 취임일은 2022년 5월 10일이구요. 임기기간은 2022년 5월 10일부터 2027년 5월 9일까지입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뽑는 날로 투표 시간은 06시부터 18시까지였습니다.

코로나19 확진·격리 유권자는 18시부터 19시30분까지구요.

 

 

그래서 대통령 선거 결과 및 출구조사 결과 발표가 평소보다 늦어졌습니다.

KBS, SBS, MBC 방송3사 출구조사 결과입니다.

윤석열 48.4%, 이재명 47.8% 초 접전입니다. 0.6% 완전 접전이에요. 서울은 윤석열 우세. 경기는 이재명 우세라고 하네요.

참고로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는 3월 4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사전투표 투표율은 36.93%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는데요.

 

 

20대 대선 투표율 역시 70%를 넘었습니다.

지난 2019년 19대 대선 투표율은 77.2%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득표율은 41.08%였죠.

오늘은 이재명 프로필 정보 알아보도록 해요.

 

 

 

이재명 나이는 1964년생으로 50세입니다. 이재명 관련주로는 이스타코, 코나아이, TS트릴리온, 프리엠스, 에이텍 등이 꼽힙니다.

이재명 고향은 경상북도 안동시입니다. 제35대 경기도지사인 이재명입니다.

 

2021.12.02 - [정보] - 심상정 의원 프로필 나이 남편

 

심상정 의원 프로필 나이 남편

심상정 의원 프로필 나이 남편 이승배 아들 집안 고향 가족 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심상정 의원입니다. 최근 심상정 의원이 워맨스가 필요해 예능에 출연하였는데요. 그동안 심상정 의원은

baeristar.tistory.com

 

 

대통령 선거로 사퇴를 한 상황이구요. 현재는 오병권 행정부지사가 권한대행을 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가족관계로는 아내, 아들이 있습니다. 경기도 성남시장을 역임했던 이재명입니다.

 

 

이재명 학력은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입니다. 제28회 사법시험 합격을 하였습니다. (사법연수원 18기 수료)

종교는 개신교라고 해요. 이재명 키는 172CM입니다.

 

 

 

열린우리당에 2005년 입당하였는데요. 작년 7월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재명 공약 알아보도록 해요. 이재명 공약 눈에 띄는 부분은 청년기본소득 연 100만원입니다.

 

 

내년(2023년)부터 만19세~29세 청년들에게 매년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청년 기본소득)합니다. 임기 중 공급하겠다고 공약한 311만 호 주택의 30%를 무주택 청년에게 배정하겠다고 하죠. 이재명 공약 중 하나는 2027년 목표로 군인 병사 월급 200만원도 있구요. 주가지수 5000 달성도 있습니다.

 

 

국민소득 5만 달러 기록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부동산 공약도 관심이 많은데요. 출산휴가, 육아휴직 자동 등록과 개 식용 금지 공약도 있습니다.

북한에 대해선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중단 없이 추진하겠다고 합니다.

 

 

 

이번 선거는 선관위 코로나 확진자 투표 부실관리 논란이 있기도 해요. 투표자 1명에게 기표용지 2장을 배부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죠. 선거 결과 정말 궁금합니다. 다음 21대 대선 대통령 선거는 2027년 3월 3일 예정이라고 하네요.

 

 

지난 18대 대선 박근혜 문재인 선거 때처럼 이번 득표율도 박빙 접전입니다. 당신의 소중한 한표가 새로운 대한민국 만듭니다. 6월 1일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교육감을 비롯해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을 뽑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