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 철학적 탐구와 교육철학과의 관련성, 이상주의
철학, 교육철학은 무엇인지 철학적 탐구와 교육철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생각보았습니다.
지금까지 교육철학은 물론이고 철학에 대해 무지하였고 교사의 교육철학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봤습니다.
평소에 철학은 존재를 다루는 학문으로 생활하는데 필요가 별로 없으며, 재미없고, 따분한 과목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과연, 철학은 무엇이고, 교육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해 우선 사전을 찾아보았습니다.
교육철학(philosophy of education, 敎育哲學)은 교육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교육학의 한 분야라고 나옵니다.
철학적으로 탐구한다는 것이 무엇일까? 철학적 탐구의 특징이 교육철학과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인가?
저는 살아오면서 문득 내가 사는 의미, 즉 나 자신이 ‘존재하는’ 의미에 대한 생각에 빠져들기도 했습니다.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 질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그러한 질문은 우리의 의문을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문 그 자체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합니다.
칸트는 철학을 가르칠 것이 아니라 ‘철학함’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이는 문제에 대하여 각자가 나름대로 고유하게 사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그냥 습관적 혹은 상식적인 차원에서 대충 생각하며 지나치는 반면, 철학적 사유를 지닌 사람들은 그런 상식과 습관에 숨겨진 맹점을 지적하고 비판하여 사태의 본질을 밝혀내고자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철학은 사물과 사건을 그 전체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며, 늘 대하는 평범한 일상적 사건도 새롭게 보는 지혜를 의미합니다.
교사를 꿈꾸고 있는 학생들은 철학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교육의 현실에서 드러나는 세세한 문제들이 나 자신의 존재와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생각할 수 있으며, 철학적 사유는 교육의 문제를 새롭게 조망하도록 유도합니다.
철학적 탐구란 전체성·궁극성을 탐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체성이란 세부적인 사항을 모두 통합하여 완결한 행동 방안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다양한 행동들 상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그 행동들이 서로서로 의미를 보충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궁극성은 경험이 끝났다던가 완결되었다는 뜻이 아니라, 보다 깊은 수준의 의미를 천착해 들어가는 성향, 즉 표면의 밑을 파고 들어가서 사건이나 사물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러한 수준에서 사유하는 것을 뜻합니다.
결국 교육철학이란 교육현상의 전체성과 궁극성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교육의 실천원리나 이론체계를 정당화하는 근거를 분석하고 검토하며 비판하는 일,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사용되는 개념들과 주장들의 논리적 타당성과 가능성을 밝히는 일, 그리고 교육에 관한 여러 이론적 요소들을 통합된 지식체계로 조직하는 일 등을 탐구하는 활동입니다.
곧, 교육철학에는 철학적 탐구의 특징이 담겨져 있어야 합니다.
교사들에게 있어서 철학은 전문적 활동의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리들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그들이 이것을 알고 있든 없든 모든 교사는 교육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교육 철학은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하며, 좋은 삶을 살기 위해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신념체계를 의미합니다.
물론 교사들이 개인적으로 그들의 철학이나 교육적 입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도는 각기 다릅니다.
철학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많은 젊은이들에게 진정한 삶의 가치를 전수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할 사람들은 바로 교사들입니다.
이상주의에서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는 어떠하고 교사가 갖추어야 할 특징은 무엇일지 생각해봅니다.
이상주의 이론이 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이상주의자들이 교육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정리해보기 위해서입니다.
우주의 실체란 본질적으로 인간의 정신에서 밝혀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상주의 교육철학에 대해 정리할 필요를 느낍니다.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그 본질상 정신으로 되어 있는 까닭에 물질적 요소는 정신적 요소를 통해 설명된다는 것으로 설명되어지는 이상주의 혹은 관념론은 나에게 익숙한 이야기입니다.
플라톤의 동굴이야기, 이데아에 대한 얘기로 교육철학 이상주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그리고 이상주의 교사에 특징에 대한 부분을 문제로 삼고, 연구를 시작해봤습니다.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는 이상주의 교육방법(원리)를 연구하면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상주의의 교육방법은 이상주의의 인식론에서 그 개념이 찾아집니다.
이상주의에서는 개인에게 절대 진리나 보편진리가 내재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학습자 자신의 내적인 사색을 통하여, 즉 자아 반성 또는 자아 성찰을 거쳐서 절대 지식을 회상 또는 인식한다고 봅니다.
유치원을 창시한 관념론자인 프뢰벨은 학습자 자신의 활동원리는 강조하고 있습니다.
학습자의 자발적 활동은 학습자의 흥미와 관계되는데, 학생은 스스로 직관적인 내적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적인 자극이 필요 없이 스스로 일깨워지며, 그래서 자연스럽게 특정한 사건과 행동과 활동에 이끌린다고 봅니다.
이상주의 교사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익숙해야 하며 이상적인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교육방법으로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이나 교사의 모범이 중시됩니다.
교육의 역할은 학습자의 정신에 이미 잠재되어 있는 이데아를 상기시키는 것입니다.
학생들 각자는 개성을 지닌 존재로서 존중되지만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의 관계에서는 교사가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고유한 정신세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최대한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인간의 특성과 문화 및 실재의 세계에 대한 전문가로서 학생들을 격려하고 정신적 경험의 장으로 이끌게 됩니다.
교사는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을 소유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범적 삶을 통해 학생들의 모방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교사는 학생들에게 도덕적·문화적으로 귀감이 되어 학생들의 가치체계 형성에 기여해야 하는 것입니다.
현재 교사가 위에서 제시되고 있는 갖추어야할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다면 인기 만점인 교사일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대부분의 교사, 아마도 모든 교사가 그렇지 않습니다.
이상적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특징을 버틀러의 이론에는 학생에게 문화와 실재 세계를 구현해야 하며, 인간 특성에 대하여 전문적 이어야 하며, 학습과정에서 숙달된 전문가로서 전문적인 의견을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학습자가 배우려는 욕망을 갖도록 일깨워야 하며, 학생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해야 하며, 완전한 인간성을 달성하기 위한 도덕성을 보여야 합니다.
또한 각 세대가 문화적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헌신해야 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