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태 효능 부작용 추출물 요리 (가시파래)
미역, 김, 매생이, 파래, 다시마, 톳 등 해조류가 몸에 좋다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가시파래라고 불리는 감태 효능 정보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감태가 가시파래라고 합니다.
초록색을 띠는 녹조류인 감태의 공식적인 이름은 가시파래인 것입니다.
아무래도 이제 봄이 오다보니 겨울철 추울 때 먹으면 좋은 해조류를 많이 먹어둬야겠다는 생각입니다.
감태는 한자로 달 감(甘)과 이끼 태(苔)라고 합니다.
쌉쌀하고 단 맛이 납니다.
작년 배우 오윤아가 신상출시 편스토랑에 출연했었습니다.
당시 오윤아는 전복감태김밥을 선보이며 우승을 거두었습니다.
그에따라 감태 효능에 대한 정보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윤아는 전복 볶음과 함께 전복 내장을 갈아 넣었습니다.
그 뒤 고소하게 부쳐낸 달걀지단으로 김밥 속 재료를 완성한 후, 김 대신 감태로 밥을 말았습니다.
그래서 전복감태김밥이 편의점 출시가 되기도 했습니다.
즉, 여기서 쓰인 감태가 정확히는 가시파래라는 것입니다.
12월에서 3월 사이의 겨울이 제철인 감태입니다.
감태는 양식을 통해 재배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서식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충남 태안과 서산, 전남 장흥(덕흥마을)과 무안 등에서 나오는 감태입니다.
무안군의 작년 감태 생산량은 154톤이라고 합니다.
주로 생으로 무치거나 김처럼 말려서 밑반찬으로 먹습니다.
감태 효능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시는게 수면입니다.
잠이 잘 오게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흔히 잠 잘오게 하는 음식으로는 상추와 바나나를 떠올립니다.
국화, 양파도 있습니다.
불면증에 좋은 음식으로 꼽히는 감태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감태와 가시파래를 구분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감태는 실험을 통해 입면 시간을 당겨주고, 수면 시간을 두 배 가까이 증가시켜주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세로토닌, 히스타민, 가바 이런 신경전달 물질들이 있는데 감태가 그 신경전달 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를 조절한다고 합니다.
감태에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플로로탄닌이 들어있습니다.
중추신경계의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고 합니다.
신경을 안정화시켜 불면증 증상 완화에도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감태는 내만이나 민물 유입으로 영양이 풍부하고 오염원이 없는 수심 10m 내외에 산다고 합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감태 추출물입니다.
플로로타닌 성분 중 디엑콜 성분을 추출 한 것이 감태추출물이라고 합니다.
그밖에 디에콜, 후코이단, 칼륨, 씨놀, 알긴산 등의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미역과 비슷하게 생긴 감태인 것입니다.
보통 제주 감태라고 표시해둔 제품일겁니다.
가시파래가 아닙니다.
그러면 이제 가시파래가 정식명칭인 감태 효능 알아보겠습니다.
감태는 요오드, 칼슘, 비타민 B1, B2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감태 효능으로는 혈관 건강이 있습니다.
철분도 많아 빈혈 증상 개선과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혈액순환 개선에 좋은 카테킨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맥경화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감태는 뼈와 치아 건강에도 좋다고 합니다.
우유보다 6배나 많은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들에게도 좋습니다.
구강건강에도 좋습니다.
그리고 감태의 비타민 A는 체내에 쌓여있는 니코틴 성분을 몸 밖으로 배출시킵니다.
노화방지와 항암효과, 피부미용에 좋은 감태입니다.
허영만은 파래가 해조류 중 제일 가늘다며 파래가 제일 굵고 감태가 중간이라고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허영만 만화가는 매생이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태는 또한 숙성해서 먹으면 더 맛있다고 합니다.
감태는 진통과 염증 완화에도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관절염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감태는 보다시피 식이섬유도 풍부하다고 합니다.
식이섬유는 고구마의 7배가 함유되어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변비가 심한 경우 먹어도 좋습니다.
대장암에도 좋습니다.
감태를 이용해 감태 김치, 감태 김밥, 감태 달걀말이 등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건강에 좋은 감태는 영양성분도 풍부해서 몸에 좋습니다.
감태 부작용으로는 몸이 찬 사람들이 먹으면 안좋다고 합니다.
소화 불량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불안이나 경련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는 가시파래(감태)입니다.
정약용이 쓴 자산어보에도 감태에 대한 언급이 있다고 합니다.
감태로 건강관리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댓글